<운수 좋은 날>은 1924년 6월 [개벽]에 발표된 현진건의 단편 소설이다. 1920년대 전반기 서울을 배경으로 '일제 강점기 하층민의 비참한 생활상'을 그린 대표적인 사실주의 소설이다.
<운수 좋은 날>은 인력거꾼 김 첨지의 하루를 그린다. 비오는 날 김 첨지는 돈을 많이 버는 행운을 얻지만 집에 돌아왔을 때 아내의 죽음이라는 불행과 맞닥트린다. 운수 좋은 날이 아니라 가장 운수가 없는 날이었던 것이다. 이처럼 가장 비극적인 날을 '운수 좋은 날'이라고 반어적으로 부름으로서 이 작품이 지닌 비극성은 극대화된다.
<운수 좋은 날>에서 '추적추적 내리는 비'는 작품 전체에 암울한 분위기를 형성하는데, 이것은 주인공을 둘러싼 빈곤과 절망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김 첨지의 아내가 먹고 싶어 하던 설렁탕은 값비싼 음식이 아니라 당시 서민들이 즐기던 음식이었다. 김 첨지의 아내가 죽음을 앞두고 그토록 소원했던 것이 설렁탕이라는 것은 그 소원이 지니는 소박함만큼이나 이들의 극한 가난을 드러낸다.
줄거리
추적추적 비 내리는 겨울날, 인력거꾼 김첨지는 아픈 아내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일을 나왔는데 아침부터 손님이 계속 이어지는 행운을 얻는다. 행운이 계속되지만 병으로 누워있는 아내 걱정으로 마음은 불안하다. 돈이 없어 약한번 사다 먹이지 못하는 아내가 오늘만은 나가지 말라고 애원했던 것이다. 그래서 집 근처를 지나갈 때면 발걸음이 무거워진다.
집에 가는 길이 선술집에서 친구 치삼이를 만나 불안한 마음을 드러내며 술을 마시고 설렁탕 한 그릇을 사서 집에 갔는데 아내는 싸늘하게 죽어있었다. 젖먹이 아이는 죽은 엄마의 빈 젖꼭지를 빨고 있었다. 김첨지는 아내의 죽음 앞에서 "설렁탕을 사다 놓았는데 왜 먹지를 못하니 왜 먹지를 못하니....... 괴상하게도 오늘은! 운수가 좋더니만....."하고 울부짖는다.
운수 좋은 날 시대적 상황
1920년대는 일제의 수탈로 조선의 전 민중이 생존 자체를 위협받던 시기였다. 일제의 토지조사사업으로 토지를 빼앗긴 농민들은 간도로 이주하거나 도시로 흘러들어 값싼 임금을 받는 노동자나 부랑자가 되었다. 1926년 12월 22일자 조선일보 기사를 보면 당시 상황을 잘 알 수 있다.
나날이 닥쳐오는 생활난으로 만주의 광야를 향하여 북으로 북으로 멀리 축출되는 백의민족의 무리가 해를 따라 증가된다. 올해에는 경기도 양평을 비롯하여 강원도의 각처에서 이주하는 사람이 다수였음을 보도하였지만, 그들은 고국에서는 명을 이을 수 없음으로 산천이 다른 저 이역에서 활로를 찾기 위하여 서북간도로 향하는 도중 혹독한 대륙의 한풍에 무참히도 동사하는 일이 누누히 있다.
1926년 12월 22일자 조선일보 기사
운수 좋은 날 독서감상문
제목: 일제강점기 도시 하층민의 비참한 생활
현진건의 소설 <운수 좋은 날>의 시대적 배경은 일제의 수탈로 조선의 전 민중이 생존 자체를 위협받던 시기인 1920년대이다. 일제는 조선의 국권을 빼앗고 토지조사사업을 실시하여 신고 되지 않은 토지는 국유지로 만들어 동양척식주식회사에 넘겼다. 소작농들 또한 턱없이 오른 소작료에 인해 더 이상 농촌에서 살아갈 수 없는 지경이 되었다. 이런 농민들은 간도로 이주하거나 도시로 흘러들어 값싼 임금을 받는 노동자나 부랑자가 되었다.
<운수 좋은 날>의 주인공 김 첨지도 이 시기에 도시로 흘러들어와 인력거꾼을 하며 하루하루 살아가는 도시 하층민이다. 요즘은 전차까지 생겨서 인력거 타는 손님이 줄어 열흘동안 공을 치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 비오는 겨울 날 돈을 많이 버는 행운이 잇따른다. 행운이 계속되지만 병으로 누워있는 아내 걱정으로 마음은 불안하다. 돈이 없어 약 한 번 사다 먹이지 못하는 아내가 오늘만은 나가지 말라고 애원했던 것이다. 그래서 집 근처를 지나갈 때면 발걸음이 무거워진다. 집에 가는 길이 선술집에서 친구 치삼이를 만나 불안한 마음을 드러내며 술을 마시고 설렁탕 한 그릇을 사서 집에 갔는데 아내는 싸늘하게 죽어있었다.
나는 이 소설을 읽고 '가난은 누구의 책임인가'라는 주제로 친구들과 토론을 했다. 나는 가난은 사회의 책임이 더 크다고 생각한다. 2024년인 지금이야 복지가 잘 되어있고 지원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하지만 운수 좋은 날의 시대적 배경인 1920년대에는 가난한 집의 아들로 태어나면 평생 가난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평생을 빚을 갚거나 농사를 짓고 하루벌어 하루먹고 살아가야 했다. 신분제도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태어날 때부터 자신의 운명이 정해지던 시대였다. 물론 ‘운수 좋은 날’의 김첨지가 아픈아내에게 막대한 행동은 잘못되었지만 김첨지의 가난이 모두 개인의 잘못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비록 김첨지가 아내를 대하는 태도가 마음에 안들긴 하지만 그는 아내와 자식을 위해 뼈가 빠져라 일을 했다. 그래서 나는 게으름과 무능력이 가난의 원인이 아닌 가난의 결과라고 생각한다.
청주 서경중 윤OO
'중등논술 > 국어교과서소설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설 노새 두 마리 독서토론 가난은 누구의 책임인가? (7) | 2024.10.28 |
---|---|
연암 박지원의 허생전 줄거리와 사회,문화적 배경 (0) | 2024.08.29 |
최일남 소설 노새 두 마리 줄거리 작품분석 (1) | 2024.07.27 |
김유정 소설 동백꽃 줄거리 및 작품분석 서술자바꿔쓰기 (1) | 2024.07.25 |
박지원의 한문소설 양반전 작품분석 (2) | 2024.07.17 |